유동성; NFT가 풀어야하는 숙제

이 숙제를 해결하기 위한 여러가지 흥미로운 아이디어/시도들

유동성; NFT가 풀어야하는 숙제

개요

  • NFT가 풀어야 하는 가장 큰 숙제는 얕은 유동성이다.
  • Paradigm의 Dave White는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여러가지 흥미로운 NFT 상품에 대한 아이디어를 제시하였다.
  • FloorDAO는 OlympusDAO의 방법을 차용하여 유동성 부족의 문제를 해결하려고 한다.

더 이야기할 필요가 없는 사실

이미 NFT는 많은 발전을 이뤄내었다. 약 2년만에 크립토 너드들만의 전유물에서 펩시, 디즈니, 신한은행 등과 같은 섹터에 관계없이 메인스트림 회사들이 가장 주목하는 기술로 변모하였다. 매일매일 새로운 NFT 프로젝트들이 나오고 있고, 이에 따라 관련 기술, 도구, 인프라들도 꾸준히 발전하고 있다.


풀어야하는 숙제

대체 불가능한

NFT는 Non Fungible Token으로 각각의 NFT는 고유하고, 상호 교환이 불가능하다. Alice가 가지고 있는 1ETH와 내가 가지고 있는 1ETH가 완벽하게 같은 것과 달리, Alice가 가지고 있는 BAYC#2312과 내가 가지고 있는 BAYC#4421는 근본적으로 다르고, 이에 따라서 댜른 가치를 지니고 있다.

BAYC#4421 - 물론 내가 소유하지 않는다.

유동성 이슈

유동성은 우리가 거래를 할 때 가장 먼저 고려해야하는 문제이다. 유동성이 얕은 시장은 자연스럽게 가격 변동성이 높을 수 밖에 없고, 내가 물건을 팔려고 할 때 바로 팔 수 없을 수 있다는 사실을 의미하며, 가격이 쉽게 조작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암호화폐 시장의 유동성과 달리 NFT 시장은 모든 NFT가 고유하고, 1:1로 대응될 수 없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유동성이 얕을 수 밖에 없다. 또한 BTC나 ETH가 무한대로 쪼개어서 거래할 수 있는 것과 달리, NFT는 원칙적으로 조각낼 수가 없다. 이러한 사실 역시 NFT 거래에 대한 부담을 주어서 유동성을 얕게 하는데 기여하고 있다.

기존의 여러 시도들

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서 사람들은 fungible token, 즉 ERC20 형태의 토큰 메커니즘을 NFT에 적절히 결합하여서 해결하려고 하였다.

Fractional.art의 경우, NFT의 주인은 NFT를 금고에 담보로 맡긴 뒤에 해당 NFT에 해당하는 ERC20 토큰을 원하는 수량만큼 민팅할 수 있다. 각각의 토큰은 해당 NFT의 일부분을 나타내고, 원하는 사람들은 이 토큰을 구매하여 NFT의 일부분을 소유할 수 있게 된다. 아래에서 상세히 서술될 NFTX의 경우에도 비슷한 시도를 하고 있지만, 둘 다 유동성 문제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책을 제시하진 못하였다.

이에 따라 최근에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더 창의적인 아이디어 혹은 시도들이 나오고 있다.


기본 레이어

분산화된 NFT 마켓플레이스 : NFTX

현재 가장 주목받은 NFT 마켓플레이스는 OpenSea이다. 햐지만, OpenSea는 소수의 팀이 회사를 전적으로 관리하며 운영하는 중앙화된 마켓플레이스이다. 이러한 구조는 여러 부작용이 있을 수 있는데, 작년에 OpenSea 임직원이 NFT가 리스팅되기 전에 미리 구매한 사건이 하나의 예로 볼 수 있다. OpenSea가 NFT의 Coinbase라면, NFTX는 NFTX DAO에 의하여 운영되는 완전한 분산화된 마켓플레이스로 비유하자면, Uniswap이다.

NFTX에서 NFT 보유자들은 NFTX 금고에 자신의 NFT를 예치하고, ERC20 기반의 vToken(예: $PUNK)을 민팅할 수 있다. 이 vToken을 이용하여 NFT 보유자들은 vToken을 스테이킹하거나, 유동성 풀을 제공함을 통하여 수익을 얻을 수 있고, 투자자들은 기존에 가격대가 높아서 접근하지 못하던 NFT 프로젝트에 프로젝트의 vToken을 구매하는 방식을 통하여 더 쉽게 접근할 수 있게 된다.

NFTX

Dave White

Dave White는 Paradigm의 리서치 파트너로써 앞서 언급한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Floor Perps, Mortys, Ricks라는 새로운 사고실험적인 NFT 상품을 제안하였다.

Dave White

Floor Perps

Floor Perp는 NFT 프로젝트의 floor price를 트래킹하는 Perp이다.

Floor price & Perps

Floor price란, 해당 NFT 프로젝트를 랜덤하게 받는다고 가정하였을 때, 구매자가 지불할 의사가 있는 최대 가격이다. 쉽게 얘기하자면, 해당 프로젝트의 NFT를 구매할 수 있는 최저가라고 보면 된다.

Perp란, 무기한 선물로, 말 그대로 만기일이 없는 선물 계약이다. 만기일이 없기 때문에, Mark price(선물 가격)과 Index price(현물 가격)의 괴리감이 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Funding fee라는 개념을 사용한다. 만약 선물에 대한 수요가 현물보다 높다면, 선물을 long한 사람들이 선물을 short한 사람에게 일정 비용의 Funding fee를 지속적으로 주고, 반대인 경우에는 반대로 long한 사람이 받는다. Margin이란, 무기한 선물 투자를 하기 위하여 담보로 맡기는 돈을 말한다. 만약 Margin이 최소 필요 금액보다 작아지면, 청산당할 수 있다.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

예시를 위하여 나는 Koala Intelligence Agency(KIA)라는 프로젝트의 floor price 근처에서 거래되는 Koala Agent#2503을 보유하고 있다고 하자. 실제 KIA의 floor price는 0.15 ETH이다.

나는 내 NFT를 팔고 싶지는 않지만, 어느정도의 유동성을 확보하고 싶다.

또한, 유동성을 확보할 때 floor price의 가격 변동성에 최대한 영향을 받지 않고 싶다.

추가로, 나는 내 NFT가 과소평가되었다고 생각하여 floor price보다 높은 가치를 가진다고 믿기 때문에, 이 upside에 대한 노출을 가지고 싶다.

Koala Agent #2503 - 0.15 ETH

메커니즘

Floor perp는 BTC-PERP와 비슷한데, 단지 BTC 대신에 floor price를 트랙킹하고, 담보로 NFT를 맡긴다는 것이 가장 큰 차이이다.

나는 나의 KIA NFT를 담보로 맡긴 다음에 1 KIA Floor perp를 민팅하여 판다. 현재 floor price는 1.5 ETH이므로, 나는 1.5 ETH의 유동성을 확보할 수 있다. 나중에 나는 Floor perp를 통해서 담보로 맡긴 NFT를 회수할 수 있다.

케이스1 | floor price: 1.0 ETH로 하락, 나의 NFT: 1.2ETH

나는 1.5 ETH의 유동성 중 1.0 ETH로 1 KIA Floor perp를 구매하고 이것을 통해 나의 NFT를 회수한다. 그러면 나의 총 자산은 0.5 ETH + 1.2 ETH(NFT의 가치) = 1.7 ETH으로, NFT의 가격이 떨어졌음에도 자산의 가치가 상승하였다!

케이스2 | floor price: 2.0 ETH로 상승, 나의 NFT: 2.1ETH

나는 1.5ETH의 유동성에 0.5 ETH를 추가로 들여서 1 KIA Floor perp를 구매하고 이것을 통해 나의 NFT를 회수한다. 그러면 나의 총 자산은 -0.5 ETH + 2.1 ETH(NFT의 가치) = 1.6 ETH로, 케이스1에 비하여 NFT의 절대적인 가격은 올랐음에도 상대적으로 자산의 가치는 하락하였다.

위 예시에서 알 수 있듯이 floor perp는 NFT의 절대적인 가격 상승보다, NFT가 floor price에 비하여 얼마나 가격이 상승하였느냐가 자산의 가치를 결정한다.


Mortys

Mortys는 특정 클래스의 NFT의 부분적 오너쉽을 표현하는 프로토콜이다.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

Floor Perps와 동일하게 나는 오너쉽은 보유한채로, 유동성을 얻는 것이 목표이다. 하지만, Floor Perps와의 차이점은 이번엔 나의 NFT가 floor price와 꽤 차이가 난다는 것이다. 예시를 위하여 나는 우주복 특성을 보유한 Koala Agent #3069를 보유한다고 하자. 이론적으로, 우주복 특성을 가진 KIA NFT들의 floor price를 추적하는 Floor Perps를 만들 수는 있지만, 모수가 너무 작아서 쉽게 조작될 수 있고 부정확할 수 있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어렵다. 그렇기 떄문에, 나는 새로운 방식을 통하여 나의 NFT의 일부분만 판매하여서 유동성을 얻고 싶다.

Koala Agent #3069 - 3 ETH

로터리 분할법

이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 중에 가장 명확하고, 간단한 방법은 NFT의 일부분을 복권 티켓의 형태로 판매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서 누군가가 1.5 ETH를 나에게 주고, 나의 Koala Agent #3069를 50%의 확률로 얻을 수 있는 권리를 사는 것이다. 하지만, 이 방법은 내가 NFT를 완전히 잃을 수 있는 리스크를 지고 싶지 않다면, 사용할 수 없다.

메커니즘

나는 새로운 우주복 특성 KIA NFT 금고(vault)를 생성하고, 나의 NFT를 담보로 맡긴 후, 100개의 우주복 특성 KIA Mortys를 발행한다. 중요한 사실은 이 금고는 우주복 특성을 가진 KIA NFT에 해당하기 때문에, 나의 NFT는 우주복 특성을 가지고 있는 아무 KIA NFT로 대체가능하다. 다른 우주복 특성을 가진 KIA NFT를 맡겨도 우주복 특성 KIA Mortys를 민팅할 수 있다.

나는 100개의 Mortys 중에 50개를 DEX에 판매하여서 50%의 유동성을 얻게 되었고, 현재 나에게는 50 Mortys가 있다. 이제 매일 1/2의 확률로 1 Morty가 나에게 주어지거나, buy pool에 주어진다. 결국 하루 뒤에 (나: 51 Mortys, Buy pool: 49 Mortys) 이거나 (나: 49 Mortys, Buy pool: 51 Mortys)가 되게 되고, 내가 모든 Mortys를 잃거나 100개의 Mortys를 회복할 때까지 과정은 반복된다.

내가 모든 Mortys를 잃게 되면,

내가 담보로 맡긴 나의 NFT는 NFTX와 같은 곳으로 이동되어서, 누구나 100 우주복 특성 KIA Mortys를 지불하면 회수할 수 있게 된다.

100개의 Mortys를 회복하면,

내가 담보로 맡긴 NFT를 회수할 수 있게 된다.


RICKS

RICKS는 새로운 NFT 파편화(fractionalization) 상품이다. NFT를 RICKS로 파편화하면, 정해진 비율로 새로운 파편들이 새로 민팅되어서 판매된다. 판매 비용은 기존의 RICKS 보유자들에게 보상으로 주어진다.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

RICKS의 목표는 NFT의 재구성(reconsitution) 문제를 유동성이나 다른 부작용 없이 해결하는 것이다.

NFT를 파편화하였을 때 생길 수 있는 문제는 어떻게 이 파편들을 다시 하나의 NFT로 재구성하는지이다. 내가 유동성을 위하여 NFT의 25%를 팔았는데, 만약 나중에 NFT를 어떤 유틸리티 때문에 사용할 일이 생긴다면, 어떻게 다시 NFT를 하나로 재구성할 것인가? 또한 나의 NFT의 일부분을 구매한 사람이 private key를 잃어버렸다면, NFT를 재구성하는 것이 아예 불가능할지도 모른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현재 사용되는 방식은 바이아웃 옥션이다. Fractional.art에서 사용하는 방식으로, 아무나 NFT를 구매하고 싶으면, 바이아웃 옥션을 일으킬 수 있고, 여기서 가장 높은 금액을 입찰한 사람이 가져가게 된다. 판매 대금은 해당 NFT를 보유하고 있는 지분에 따라서 나눠지게 된다.

하지만, 바이아웃 옥션에도 단점이 있는데, 바로 원하지 않아도 강제로 팔아야하는 상황이 생긴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서 내가 KIA NFT의 25%를 보유하고 있는데, 누가 해당 NFT에 대하여 바이아웃 옥션을 열어서 5 ETH에 입찰했다고 하자. 나는 5 ETH 보다 높은 가격에 팔고 싶어도, 5 ETH 이상의 자본이 없다면, 해당 입찰가를 꺾을 수 없고, 팔아야 한다. 이를 막기 위해서 최소 판매 금액이라는 것을 정할 수는 있는데, 이 역시 여러 파편 보유자들끼리 이 금액을 서로 합의하에 정하는 것이 쉽지 않다.

메커니즘

내가 보유 중인 Koala Agent #3069를 RICKS로 파편화한뒤 5 ETH의 가치에 50%를 Alice에게 팔았다고 하자. 현재 나는 총 100개의 RICKS중 50개를 보유, Alice도 50개를 보유하고 있다. RICKS는 매일 1%의 비율로 생성된다. 다음날. Bob은 새로 민팅된 1 RICK에 0.6 ETH를 입찰, 즉 전체 NFT에 6 ETH의 가치를 매긴 셈이다.

하지만, 나는 내 NFT가 최소 8 ETH의 가치가 있다고 생각하여서 Bob의 입찰을 꺾고 싶다. 일반적인 바이아웃 옥션이었다면, 나는 총 8 ETH가 있어야 했겠지만, 1 RICKS에 대한 옥션이기 때문에 나는 0.4 ETH만 입찰하면 된다. 0.8 ETH가 아닌 이유는 내가 전체 RICKS 지분의 50%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옥션 판매 금액의 반을 내가 어짜피 받을 것이므로, 0.8/2 = 0.4 ETH만 입찰하면 된다.

이렇게 RICKS를 도입하면, 약간의 자본으로도 원하지 않을 때 입찰을 꺾을 수 있게 된다. 한가지 문제점은 수학적으로, 완벽하게 누군가가 100% 지분을 확보할 수 없다. 왜냐하면, 계속 새로운 RICKS가 민팅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점은 Mortys를 사용하여서, 누군가가 일정 수준만큼의 지분을 모았으면, 특정 확률로 NFT를 회수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FloorDAO

FloorDAO는 최초의 분산화된 NFT 마켓 메이커(Market Maker)를 목표로하는 DAO이다.

FloorDAO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

현재 NFTX와 같은 분산화된 마켓플레이스들은 vTokens(예: $PUNK, $PUDGY...)에 대하여 높은 유동성을 갖추지 못하였다.

메커니즘

FloorDAO는 DeFi 섹터에서 OlympusDAO나 Fei Protocol이 사용한 Protocol Owned Liquidity(POL), 즉 유동성을 FloorDAO가 직접 소유하는 방식을 사용하여서 유동성을 늘리려고 한다. 예를 들어서 FloorDAO에 $PUNK 토큰이나 PUNK-ETH LP 토큰을 예치하면, 할인된 가격에 FloorDAO의 네이티브 토큰인 $FLOOR을 구매할 수 있게 하는 방식이다. FloorDAO는 이 예치받은 자산을 NFTX에 투입하여서 높은 수준의 유동성을 제공함과 동시에 스테이킹이나 거래에 대한 수익을 얻을 수 있다.

FloorDAO의 성공은 분산화된 NFT 마켓플레이스의 성공도 함께 의미하며, 높은 유동성이 보장되기만 한다면, NFTX는 Opensea의 거래량을 따라잡을지도 모른다.


참고 자료

An Overview of the NFT Fractionalization Landscape

Fractional.art

Dave White’s Writings

FloorDAO’s Medium